하수동, 물가의 마을중 아랫목 마을, 구수동 일제때 구수정이었다가 개칭

하수동의 동명은 물가의 마을중 아랫목 마을이라고 하여 붙여진 것이며 일명 “농바우마을”이라고 부른 다. 그 까닭은 하수동 152번지 2호에 농처럼 생긴 큰바위가 강가에 우뚝 솟아 있어서 ‘농바우’ 또는 ‘통 바우’라고 불렀기 때문이 라하며, 와우산을 소에 비유할 때, 농바우는 여물통에 비유된다고 하는데 현재는 강변도로를 건너야만 이 바위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하수동은 조선 영조 27년(1751년)에 반포된 ‘도성삼군문분계총록’에 처음으로 서부서강방 수일리계로 나타나 있고, 고종 4 년(1868)의 육전조례에 서강방 하수일계로 나타나는데 상수일리계로 분리된 것은 언제쯤인지 알 수가 없다.

한일합방후 경성부의 서강면 하수일리가 되었다가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에 편입되었다가 1936년 다시 경성부에 속하면서 하수 일정으로, 해방후 1946년 10월 1일 일제식동명 일소 방침에 따라 마포구 하수동으로 개칭되었다가, 1989년 6월 1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조례 제84호 동명칭 및 구역획정" 에 따라 폐지되어 지금은 하수동이란 명칭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구수동은 구수철리를 경성부로 편입하면서 구수정이라 하던 것을 광복 후 구수동으로 동명을 개정한데서 비롯된다. 구수동은 조선 초에 한성부 영역이 되지 못했으나 1751년에 만든 ‘도성삼군문분계총록’에 의하면 처음으로 한성부 관할구역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곧 한성부 서부 서강방 성외 구수철리계였으며 1894년 갑오개혁때 한성부 서서 서가앙 성외 구수철리계 구수철리였다.

1910년 10월1일 한성부가 경성부로 바뀌면서 경기도 관할구역이 되었고 1911년 4월1일에는 경기도령 제3호에 따라 경성부 서강면 구수철리가 되었다. 1914년 4월1일 경기도고시 제7호로 경기도 용강면 구수철리로 되었는데 1936년 4월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로 경성부 관할구역이 확장되면서 구수정이 되고 동일자로 설치한 사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43년 6월10일 조선총독부령 제350호로 마포구 구수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1일 일제식 동명의 우리말 개정원칙에 따라 마포구 구수동이 되었다.

구수동은 신수동사무소의 행정관할을 받고 있는데 구수동 21번지 한국구화초등학교 자리에는 절이 있었다 하여 절터라 불렀다. 신수동과의 경계지점은 홍현(紅峴)ㆍ붉은고개 등으로 불렀다. 본래 붉은 색은 중국에서 사용하는 색상인데 임진왜란 때 원병으로 온 명나라군이 이곳의 언덕 흙이 붉은색인 것을 보고 소국(小國)이면서 천자의 땅에나 있는 홍현이 있으니 이는 불경(不敬)한 일이라며 원군을 다시 회군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왜군의 진격과 승전기세에 눌린 명군이 비록 도와주러 오기는 했으나 전쟁에 나서는 것을 꺼려 내뱉은 말이었다.

서울을 점령한 왜군은 홍현에 적토마가 난다는 속설을 믿고 일대로 와서 며칠을 기다렸으나 말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화가 난 왜군이 마을을 짓밟고 산과 들을 불태워서 한동안은 아무도 거주하지 못할만큼 황폐한 곳이 되어 버렸으므로 아무도 살 수 없다는 뜻의 홍현이 되었다.

임오군란 때도 이와 비슷한 일이 벌어졌는데 동학혁명을 진압한다는 구실로 들어온 일본군과 청국병이 또다시 구수동의 홍현을 놓고 자리 다툼을 하였다. 곧 조선에서의 실권을 잡기 위해서는 명당에 주둔해야 하는데 홍현은 군사상의 명당에 해당되기 때문에 서로 먼저 차지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결국 일본군이 이 지점을 먼저 차지하여 나중의 청일전쟁에서도 승리를 하게 되었는데 청나라 오장경(吳長慶)은 명동의 주둔지보다 이곳을 먼저 차지해야 했는데 궁궐과의 거리만 계산하여 명동을 선점하여 결국 일본군에 패했다며 억울해 하였다.

저작권자 © 마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